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닫기


시를 읽고, 음미하고, 따라 쓰다
심미적 일러스트와 함께 감상하는 동주의 시


필사란 붓 필筆과 베낄 사寫의 한자를 사용해 ‘베껴서 쓰다’라는 뜻을 가진다. 손을 이용해 글을 쓰는 행위가 문해력을 높인다는 사실은 이미 자명하고, 깊은 독서를 가능케 하며 어릴 적 글쓰기는 자존감 형성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시를 옮겨 적으며 시어가 내포한 이미지를 떠올리고,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시를 감상하고 필사하다 보면 시인의 경험을 간접 체험하고 감정에 공감하게 되므로 간접적인 글쓰기의 효과를 가진다. 윤동주 시인 역시 백석 시인의 시집을 필사하였다. 지금 지친 마음을 이끌고 기댈 곳을 찾는 당신, 윤동주의 시를 새겨 보자. 일제강점기를 견뎌야 했던 시인의 강인한 정신이 오늘을 살아내는 우리의 마음을 고즈넉하게 위로해 줄 것이다.



006 여는 말 : 필사, 따라 쓰다
008 고석규 평론 : 윤동주의 정신적 소묘

1장
016 삶과 죽음
018 서시
020 새로운 길
022 새벽이 올 때까지
024 소낙비
026 소년
028 쉽게 쓰여진 시
032 슬픈 족속
034 아우의 인상화
036 산골물
038 별 헤는 밤
042 비 오는 밤
044 빨래
046 해바라기 얼굴
048 바람이 불어
050 아침

2장
054 초 한 대
056 코스모스
058 태초의 아침
060 투르게네프의 언덕
064 황혼
066 창공
068 종달새
070 어머니
072 오후의 구장
074 울적
076 위로
078 유언
080 이런 날
082 황혼이 바다가 되어
084 창
086 이별
088 자 화 상
090 장

3장
094 참 회 록
096 장미 병들어
098 바다
100 무서운 시간
102 못 자는 밤
104 사과
106 산울림
108 조개껍질
110 참새
112 창구멍
114 편지
116 버선본
118 무얼 먹고 사나
120 고향집 - 만주에서 부른
122 기왓장 내외
124 나무
126 둘 다
128 돌아와 보는 밤

4장
132 반딧불
134 호주머니
136 눈 감고 간다
138 간판 없는 거리
140 달같이
142 거리에서
144 또 다른 고향
146 달밤
148 내일은 없다. - 어린 마음에 물은
150 가슴 1
152 가슴 2
154 모란봉에서
156 길
158 그 여자
160 개
162 식권
164 양지쪽
166 한난계
170 흐르는 거리



상세 이미지 1



시를 읽고, 음미하고, 따라 쓰다
심미적 일러스트와 함께 감상하는 동주의 시


가슴 속에 하나 둘 새겨지는 별을
이제 다 못 헤는 것은
쉬이 아침이 오는 까닭이오
내일 밤이 남은 까닭이오
아직 나의 청춘이 다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별 헤는 밤」 일부

필사란 붓 필筆과 베낄 사寫의 한자를 사용해 ‘베껴서 쓰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손을 이용해 글을 쓰는 행위가 문해력을 높인다는 사실은 이미 자명하고, 깊은 독서를 가능케 하며 어릴 적 글쓰기는 자존감 형성에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시를 옮겨 적으며 시어가 내포한 이미지를 떠올리고,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시를 감상하고 필사하다 보면 시인의 경험을 간접 체험하고 감정에 공감하게 되므로 간접적인 글쓰기의 효과를 가집니다. 윤동주 시인 역시 백석 시인의 시집을 필사하였습니다.
지금 지친 마음을 이끌고 기댈 곳을 찾는 당신, 윤동주의 시를 새겨 보세요. 일제강점기를 견뎌야 했던 시인의 강인한 정신이 오늘을 살아내는 우리의 마음을 고즈넉하게 위로해 줄 것입니다.


오늘을 치유하는 윤동주의 문장들
일흔한 편의 시와 심미적 일러스트를 함께 감상하고 필사하며 그가 남긴 문장들을 새기다.

필사로 하는 자기 치유
글쓰기는 아주 오래전부터 정신건강 분야에서 인정받아온 치료법입니다. 필사함으로써 시를 이루는 은유적 표현이 가지는 의미의 변화와 관계의 확장을 배우며, 다채로운 세상을 보게 합니다. 세상을 관찰하는 넓은 시야각은 자연스레 문제 해결력과 자기 치료의 능력을 키울 수 있게 합니다.

독립운동의 얼이 담긴 손글씨
아름다운 민족시를 독립운동가 김구, 안중근, 윤봉길, 한용운의 서체로 담았습니다. 명필로 적힌 명시를 한 자씩 따라 쓰다 보면 독립운동의 정신을 계승하고 그 숭고함을 오래 간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시를 새기는 방법
꼭 따라 써야 하는 과제로 받아들이지는 마세요. 우리가 그분들을 매일 상기하지는 않지만 잊지 않았듯, 마음 한곳에 두었다가 꺼내 읽고 감상하세요. 그러다가 마음이 동하는 시구를 만나게 된다면 책갈피를 꽂아 두어도 되고, 한쪽 귀퉁이를 접어 두어도 되고, 연필이나 펜으로 동그라미를 그려도 됩니다. 책의 형태와 시어 해석에 얽매이지 말고 자유롭게 다루며 천천히 음미하다 보면 시는 우리에게 자연스럽게 새겨집니다.